안녕하세요 비록 비가 추적추적 내리기는 하지만 결혼식이 제일 활발히 진행되는 때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혼식에 갈 때면 축의금을 준비해서 가야하는데요, 항상 갈때마다 축의금은 얼마가 적당한지도 고민이고 축의금 봉투에는 어떻게 써야하는지 고민이신분들도 많으실것 같습니다. 이 글을 꼭 참고해주세요!
축의금 봉투 작성하는 방법은?
보통 결혼식장에 가면 결혼식장에 봉투와 펜이 비치되어 있을 겁니다. 그럼 자신이 준비해간 돈을 봉투안에 넣고 문구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또는 편하게 집에서 미리 작성해서 가셔도 됩니다.
우선 봉투 앞면에 들어가야할 문구부터 살펴보도록 할까요?
- 축결혼(祝結婚)
- 축화혼 (祝華婚)
- 축성혼 (祝成婚)
이 세가지만 기억해주시면 됩니다 . 그리고 신랑측에 보내는 축의금이라면 축결혼 이라고 한자로 작성해주시면 되시고 신부측에 내야 하는거라면 축화혼 이라고 한자로 작성해서 작성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신랑/신부 구분없이 작성해서 축의금을 전달한다고 하니까 너무 크게 신경은 쓰지말고 그냥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통은 한자로 적어서 내지만 한자로 쓰기가 어렵다면 그냥 한글로 작성해도 괜찮다고 합니다 !
앞면은 저 축하메세시 중 하나 골라서 작성해주시면 되는데, 그렇다면 축의금 봉투 뒷면에는 어떠한 문구를 작성해야하는지 이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축의금 봉투 뒷면 문구는?
그렇다면 뒷면에는 어떠한 문구를 작성해야 할까요?
만약 직장 동료라면 직장명과 소속팀 정도로 간단하게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작성할때는 봉투 왼쪽 하단에 세로로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만약 부부가 같이 축의금을 내는 것이라면 똑같이 왼쪽 하단에 본인들의 이름을 적어서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결혼식 축의금 문구 작성 방법 어렵지 않죠? 아마 사회초년생들은 직접 봉투에 무언가를 적을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더 헷갈리고 어렵다고 느껴질수는 있는데요, 몇번 해보다보면 손쉽게 느껴지실 겁니다.
그런데 봉투 말고도 한가지 더 고민이 되는 것이 있죠~!
결혼식 하면 빠질 수 없는, 바로 축의금 금액! 참, 얼마를 해야 적당한건지를 해도해도 모르겠더라구요.
친한사이에는 얼마를 해야하는지, 직장동료사이에는 얼마가 적당한지, 요즘에는 또 식대 비용이 정말 많이 올랐기 때문에 더욱 더 요즘 고민이 되는 것 같습니다.
축의금 금액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 계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서 축의금을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
매번 갈 때마다 고민이신 여러분들 위해 간편하게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절친한 친구 - 15~20만원
그냥 친구 - 5~10만원
직장 동료 - 5~10만원
친척 - 10만원~20만원
이정도로 참고하셔서 축의금을 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즘 은행어플로도 축의금을 많이 받잖아요?
코로나때 생긴 문화가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만약 결혼식장에 가지는 못하고 축의금을 낸다 싶으시면 저 위의 금액에서 조금은 빼고 보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왜냐 ! 사실 식대값이 많이 올라서 밥까지 같이 먹고 오려면 넉넉하게 줘야하는데 , 현장에 참석하지 않는다면 조금 감안해서 보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축하해주는 마음이 제일 소중하고 큰건데 언제부턴지 축의금 금액에 정말 많이 신경쓰고 집착하게 되는 그런게 있는 것 같아요. 조금 안타깝지만 요즘 축의금이 축하하는 마음과 비례하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너무 이런걸로 스트레스 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뿐만 아니라 절친한 친구사이라면 사전에 미리 축의금을 할건지 아니면 결혼선물로 대체 할건지 미리 상의도 한다고 하니까 잘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축의금 금액으로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본인이 하고싶은대로, 되는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결혼하시는 분들 너무 축하드리며 꽃길만 걸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댓글